어제 더불어민주당 쇄신 의원총회를 앞두고 전격적으로 자진 탈당을 선택한 김남국 의원을 향해 당 안팎에선 면피성 꼼수 탈당이란 비판이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22일, 돈 봉투 의혹으로 송영길 전 대표가 프랑스 현지에서 탈당을 선언했고, 지난 3일엔 같은 의혹에 연루된 윤관석, 이성만 의원이, 또 어제 김남국 의원까지 최근 20여 일간 논란의 중심에 있던 민주당 인사 4명의 이른바 '탈당 러시'가 이어졌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눈앞의 급한 불을 끄기 위해 "잠시 당을 떠났다"가 돌아오는 전례가 반복된 탓에 탈당의 진정성마저 의심받는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1년 6월, 국민권익위원회 조사를 통해 국민의힘 의원 12명과 민주당 의원 12명의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송영길 지도부는 해당 의원들에게 '탈당 권유' 조치를 내렸고, 5명은 거부, 5명은 탈당계를 제출했지만 수리되지는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비례대표인 윤미향·양이원영 의원은 탈당하면 의원직을 잃게 돼,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는 '출당' 조치가 내려졌고, 양이원영 의원은 무혐의 처분을 받은 뒤 4개월 만에 복당했습니다. <br /> <br />마찬가지로 비례대표인 김홍걸 의원도 2020년 부동산 축소 신고·투기 의혹이 불거져 비판이 증폭되자 '출당'조치가 내려졌는데요. <br /> <br />민주당은 지난달 김홍걸 의원의 복당을 결정하고 관련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엔 또, 검수완박 법안 처리 당시 자진 탈당한 민형배 의원이 당의 결정으로 '특별 복당'되면서, 위장 탈당에 꼼수 복당이란 여론의 뭇매를 맞는 궁지에 처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면피성 꼬리자르기, 탈당이 만능 치트기란 비난이 민주당으로선 더욱 뼈아플 수밖에 없는데요. <br /> <br />연이은 악재와 악화하는 여론에 민주당 지도부의 고심도 나날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51516124135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